정약용 2

조선 왕릉(87) : 제4구역 융건릉(3)

왕릉의 일반적인 진입 공간은 연지, 재실, 금천교, 홍살문으로 이어지는데 융릉의 연지는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연지의 형태가 방지원도임에 반하여 융릉은 원형으로 조성되었다. 원형의 호안은 곡선 장대석으로 원형석축을 쌓아 놓았으며 연지의 지름은 약 186미터다. 융릉의 정자각은 정전 3칸, 배위청 2칸으로 하는 5칸 정자각이며 정자각 상부의 가구 구조는 5량가, 배위청은 3량가다. 지붕은 정전과 배위청 모두 맞배에 겹처마로 박공면에는 풍판을 설치했다. 포작은 정전이 출목 2익공, 배위청이 출목이 없는 2익공이다. 지붕 용마루는 적새를 쌓고 전후면에 회를 발라 마감하는 양상도회했으며 죄우에 취두를 설치했다. 정전과 배위청의 전후 내림마루에는 용두와 잡상 각 4개씩을 설치했다. 정전 내외부와 배위청에는 모두 단청..

유네스코 세계유산, 수원화성(4)

youtu.be/xp5zw-Hgkws 화성의 건축과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다산 정약용(丁若鏞)이다. 정조는 실학자 다산에게 '삼남의 요충이요, 서울의 보장지지(保障之地)로서 만세에 길이 의지할 만한 터'인 수원화성을 건설토록 한다. 당시 30세이던 다산은 왕실 서고인 규장각에 비치된 첨단 서적들을 섭렵하고 기존의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새로운 성곽을 설계했다. 다산의 계획안은 5편으로 「성설(城說)」, 「옹성도설」, 「현안도설」, 「누조도설」, 「포루도설」로 되어 있다. 이중에서 「성설」은 성의 전체 규모나 재료, 공사 방식 등 전반에 관한 내용을 적었다. 「옹성도설」은 옹성, 「현안도설」은 현안, 「누조도설」은 적이 성문에 불을 붙였을 때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성문 위에 벽돌로 오성지(五星..